티스토리 뷰
반응형
자료형이란
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든 그 언어의 자료형을 알고 이해할 수 있다면 이미 그 언어의 절반은 터득 했다는 말을 정도로 자료형은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부분이다. 자료형은 프로그래밍을 할 때 쓰이는 숫자, 문자열 등 자료 형태를 나타내는 모든 것을 뜻한다. 즉 프로그램의 기본이자 핵심 단위가 바로 자료형이다.
숫자형
숫자형(Number)이란 숫자 형태로 이루어진 자료형으로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것들이다.
정수형: 양의정수123, 음의정수 -123, 숫자 0
실수형: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 1.2
8진수: 8진수(Octal)를 만들기 위한 숫자 0o, 0O (숫자 0 + 알파벳 소문자o 대문자O)로 시작 0o123
16진수: 16진수(Hexadecimal)를 만들기 위해서는 0x로 시작하면 된다. 0x8ff
복소수: 일반적으로 중고등학교때 복소수를 배울때 i를 사용했는데 파이썬에서는 i대신j를 사용한다. 소문자j,대문자J아무거나써도 상관없다.
1)복소수.real은 복소수의 실수 부분을 리턴한다.
>>> a = 1+2j>>> a.real1.0
2)복소수.imag는 복소수의 허수 부분을 리턴한다.
>>> a=2+3j>>> a.imag3.0
3).복소수.comjugate()는 복소수의 켤레복소수를 리턴한다.
>>> a=3+4j>>> a.conjugate()(3-4j)
4).abs(복소수)는 복소수의 절대값을 리턴한다.
>>> a = 1+2j>>> abs(a)2.23606797749979
제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
로그인이 필요없는 ↓♡공감↓ 꾸~욱 부탁드려요^^
더 나은 포스팅에 큰 힘이 됩니다.
반응형
댓글
반응형